lg프로젝트에서 결제파트 휴대폰을 담당하면서 라우터 스위치 허브 라는 단어를 종종 들었다.

하지만 그게 먼지 이해가 안됬다 부장님이 설명하기로는 통신이 오가는 길에 스위치라는 정도 누군가  정리를 잘해 놓아서

퍼놓았던거 올립니다.

출처를 잃어버려서 그냥 올릴께요. 


네트워크와 인터넷의 원리는 다음과 같은 발달 과정으로 이해하면 쉽다.
허브 → 스위치 → 라우터 → 인터넷
Hub → Switch → Router → The Internet

허브 : 허브는 패킷을 받으면 그것을 자신에게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에게 무조건 보낸다.
각각의 디바이스들은 그 패킷이 자신에게 온 것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자기가 받은 것을
무조건 자신의 로컬 네트워크 상에 다시 보내는 멍청한 기계이므로 트래픽 부담이 크다.
이러한 허브는 '브릿지'라고 불리기도 했다. 

스위치 : 스위치는 허브보다 좀더 똑똑하다. 스위치는 자신에게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IP 와 MAC 주소를 테이블로 모두 가지고 있다. 따라서 패킷이 자신에게 오면 그것의
목적지가 어디인지를 파악하여 그 디바이스에게 패킷을 보내준다. 트래픽이 훨씬 효율적
이 되는 것이다. 다만 스위치는 자신의 테이블에 없는 목적지를 가진 패킷이 오면
그것을 무조건 모든 기계에 포워딩한다. 즉 이런 경우는 허브와 똑같이 동작하는 것이다.

라우터 : 라우터는 이들 중 가장 똑똑한 기계이다. 라우터는 자신에게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주소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는 스위치와 같으나 추가로, 네트워크 상에 자신과 연결된 가장 
가까운 라우터의 주소도 갖고 있다. 이것을 '디폴트 게이트웨이' 로 프로그램해둘 수 있다.
라우터는 자신의 테이블 상에 없는 주소가 목적지인 패킷을 받으면 그것을 디폴트 게이트웨이
로 포워딩한다. 이것이 인터넷에서 데이터가 움직이는 기본 원리이다.
또한 라우터는 스위치와 달리 패킷의 source address 를 볼 수 있다. 즉 그 패킷이 로컬 
네트워크 안쪽에서 발생한 것인지 바깥쪽에서 발생한 것인지 구분할 수 있다는 얘기다.
별것 아닌 것 같아 보이지만 이는 큰 차이이다. 스위치만으로는 인터넷을 구성할 수 없지만
라우터로는 바깥쪽의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통해 인터넷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 : 인터넷을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라우터들의 모임'이라고 볼 수 있다. 
인터넷은 여러 네트워크의 연결로, 네트워크 A 와 네트워크 B 가 연결된다고 할때 
네트워크 A 측의 라우터와 네트워크 B 측의 라우터가 연결되는 식으로 연결되고
그러한 연결이 무수히 많아진 것이 인터넷인 것이다.

부연 : 여기서 설명한 허브, 스위치, 라우터는 가장 원초적인 정의상의 설명임.
즉 여기서의 스위치는 L2 스위치를 의미. L3 이상의 스위치는 사실 순수한 스위치라고 보기가 힘듬.
예를 들어 이미 2000년 초반 스위치에 L3 기능이 얹어지면서 라우터와 스위치의 경계가
모호해진 바도 있으므로 실제 생산되는 제품의 세계에서 이들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아님.


감사합니다.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OUTER Windows 설치 가이드 및 사용 방법  (2473) 2020.07.16
리눅스 root 비밀번호 변경  (1284) 2019.01.16
L2, L3, L4, L7 스위치란 무엇인가?  (967) 2018.08.08
정보처리기사 알고리즘 기초  (7) 2018.05.09
보험사 업무 프로세스  (4) 2018.03.07

질문 : L2, L3, L4, L7 스위치란 무엇인가?
요약 : L2, L3 등은 OSI의 7 레이어 중 어떤 레이어에서 수행되는가에 따라 정의된 분류이다.

설명 : L2 Switch 
가장 원초적인 형태의 스위치는 L2 스위치이다.
원래 스위치의 정의에 가장 부합하는 것이 L2 스위치이므로 
L2 를 그냥 스위치라고 부르기도 한다. 스위치는 허브에서
한단계 진화한 것일 뿐으로(허브와 스위치가 무엇인지 보려면 여기로), 
패킷이 왔을때 그것의 목적지가 어디인가를 보고 그 목적지로 
보내주는 역할만을 한다. 말 그대로 '스위치'일 뿐이다. 
이는 레벨 2에서 동작하므로 목적지는 Ethernet 주소로 이해한다. 
즉 IP 주소가 필요한 외부로 보내줄 수 없다. 

설명 : L2 Switch 의 한계 
OSI 7 layers 에서 2 레벨은 data link 레이어이므로, 
L2 스위치는 Ethernet 레벨에서 동작할 뿐 그 상위 레이어인
네트워크 레이어에서 동작하는 IP 등을 이해하지 못한다.
다시말해 IP 어드레스를 이해하지 못하므로 라우팅이 불가능하다
(Route 라는 것이 외부와 연결되므로 IP 어드레스를 알아야 함을 기억하면 이는 당연)

설명 : L3 Switch 
L3 에서는 3 레이어의 프로토콜인 IP 등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므로
자신에게 온 패킷의 destination 이 외부에 존재하는 IP 일 경우
그 패킷을 외부에 연결된 라우터로 보내줄 수 있다. 즉 L3 스위치는
라우터 기능도 갖고 있기 때문에 라우터와의 경계가 모호해진다.

설명 : L4 Switch 
L4 에서는 4 레이어의 프로토콜인 TCP/UDP 등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므로 
TCP와 UDP 등의 헤더를 보고 그것이 FTP 인가 HTTP 인가 SMTP 인가를
보고 어떤 것을 우선시해서 스위칭할지 판단할 수 있다. 즉 로드 밸런싱이 
가능해진다는 얘기인데 이는 L3 이하에서는 불가능한 것이다. 

설명 : L7 Switch
L7 스위치는 OSI 의 7 레이어 즉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이를테면 이메일의 제목이나 문자열을 보고 내용을 파악한다거나 
HTTP 의 URL, 또는 FTP의 파일명, 쿠키 정보, 특정 바이러스의 패턴 등을
분석해서 보안에 더욱 유리하고 더욱 정교한 로드 밸런싱이 가능해진다.
사실 어플리케이션 레벨의 데이터를 다 다룬다는 것은 불가능하고
L7 스위치는 단지 패킷의 내용을 조금 더 참조하여 약간 intelligent 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 것 뿐이다. 쉽게말해 L7 스위치라는 것은 마케팅용어라고
볼 수 있다.

부연 : 
상위 레벨에서 동작하는 스위치는 자신의 하위 레벨 스위치의 기능을 다 갖고 있다.
예를 들어 L4 스위치는 L3, L2 스위치의 기능도 다 수행할 수 있다.


출처 ... 정리잘된거 보관만하다가 어디서 퍼왓는지 까먹었네요...



+ Recent posts